[신흥사]신라(新羅) 진덕여왕 6년(서기652)에 자장율사가 창건하여 향성사(香城寺) 라고 하였다. 이 이름은 불교의 중향성불토국(衆香城佛土國)이라는 글에서 따온 것인데 중향성(衆香城)은 금강산(金剛山) 철위산(鐵圍山)을 의미하며 불토국(佛土國)은 부처님께서 교화 할 대상적 국토라는 의미와 정치적 형태의 국가라고 하는 뜻과 어울린 말이다. 처음 향성사지는 지금의 켄싱턴호텔 자리에 세워져 46년간 존속하다가 효소왕 7년(서기 698)에 화재로 소실되었다. 그 당시 9층이던 향성탑이 현재 켄싱턴호텔 앞에 3층만 남아 있어 옛 향성사의 역사를 말해주듯 옛날을 잊지 않게 하고 있다. 향성사가 화재를 당한지 3년 후 의상조사께서 능인암(현재 내원암)터에 다시 중건하고 사명(寺名)을 선정사(禪定寺)라고 개칭 하였다. 그 후 946년간 수많은 선승들이 이곳에서 수도 정진하여 왔으나 조선 인조20년(서기1642)또다시 화재가 발생하여 소실된 것을 2년후 영서(靈瑞), 혜원(惠元), 연옥(蓮玉) 세분의 고승들께서 중창을 서원하고 기도 정진 중 비몽사몽간에 백발신인이 나타나서 지금의 신흥사 터를 점지해 주며 “이곳은 누 만대에 삼재가 미치지 않는 신역(神域)이니라” 말씀 하신 후 홀연히 사라지는 기서(奇瑞)를 얻고 절을 중창하니 지금의 신흥사이다. 대한불교조계종 제3교구 본사사다.
보재루(普齋樓)는 신흥사의 본전인 극락보전 앞에 있는 장방형(직사각형) 의 큰 누각이다. 장대석으로 쌓은 2단의 축대 위에 정면 7칸(22.4m), 측면 2칸(8.5m)의 누마루식 홑처마 맛배 지붕이다. 1985.9.13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04호로 지정되었다. 영조46년(1770년)에 세워진 것으로 누각식으로 되어 하층 중앙칸은 극락보전으로 가는 통로가 되고, 상층은 다락으로 되어 있다.본래 사찰의 본전 앞에 세워지는 누각은 각종 법회를 거행 하던 곳이었으며 사방이 개방되어 있었다. 현재는 그 기능이 사라졌으며, 세살의 분합문을 달았다. 건물 안에는 직경 6척 비자나무통에 황우 6마리 분의 가죽으로 만들었다는 법고(法鼓)와 3m남짓한 크기의 용머리를 취한 목어, 신흥사와 관련된 여러가지 현판 등과 강원도 지방문화재 제15호로 지정된 경판이 보존되어 있다. 이 경판은 17세기 중반에 새긴 19종의 목판으로 한자, 한글, 범어(梵語)가 혼합되어 있는 희귀한 것으로 그 가치가 크다. 본래 이 경판들은 1661년(현종 2년)에 지어진 해장전이라는 건물에 보관되어 있었으나 1858년 응진전으로 바뀐 후 현재는 보제루에 보관되고 있다. 특히 네 벽에 시판(詩板)과 추사(秋史)의 친필이 있어 유명 하다. 보제루는 1770년(영조 46년)에 세워진 누각으로 장대석을 쌓은 2단의 축대 위에 정면 7칸, 측면 2칸의 홑처마 맞배지붕으로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04호로 지정되었다.
극락보전(極樂寶殿)은 극락세계의 주인공인 아미타불을 주존으로 봉안하는 보배로 운 전각이라는 뜻을 지닌다. 신흥사 극락보전은 창건 후 영조26년(1750)과 순조21년(1821)에 각각 중수되어 조선시대 후기의 건축양식을 잘 간직하고 있다. 건물의 크기는 190㎡ 로서 목조기와집이며 원형보존이 잘되어져 있다. 절의 대표적 전각인 극락보전은 창건 당시 소실되었으나 승려 각중이 영조25년(1750)에 중건하였다. 그 이후 순조 21년(1821)에 거관 등이 중수하고 단청을 새롭게 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극락보전에 오르는 석조계단은 하나의 돌로 구성된 층계이며 하단 양쪽에 용머리를 조각하고 측면에는 귀면상을 조각하였다. 정면, 측면 각 3칸의 겹처마 팔작지붕의 다포 단층 전각으로 조선시대의 다포집에서 볼 수 있는 공포형식을 갖추고 있다. 공포(拱包)는 3출목이며 쇠서는 끝이 위로 올라가 있고, 소로와 첨차의 아랫부분이 직면으로 사절(斜切)되어 조선시대 후기의 일반적인 형태를 취하고 있다. 전각 안에는 불상 위의 닫집, 천장의 금빛문양, 문에 새겨진 꽃문살 등이 단아하면서 균형 잡힌 전각은 공포의 아름다움과 단청의 화려함을 뽐내고 있다.
극락보전 기둥의 주련
極樂堂前滿月容(극락당전만월용) 극락세계 보궁의 만월같은 아미타 부처님
玉毫金色照虛空(옥호금색조허공) 금빛 몸 백호광명 온세상 비추시네.
若人一念稱名號(약인일념칭명호) 누구나 일념으로 아미타불 부르오면
頃刻圓成無量功(경각원성무량공) 찰나간에 무량공덕 원만히 이루리라.
신설악산 흥사 본전 목조 아미타삼존불좌상(보물 제1721호)은 복장에서 발견된 조성발원문을 통해 1651년이라는 정확한 조성시기와 제작자, 그리고 제작에 참여한 제작주체를 분명히 하고 있어 17세기 중엽경 불교조각사 연구에 기준이 되는 자료이다. 이 불상을 조각한 무염은 대화사 현진과 함께 17세기 전·중엽 경을 대표하는 화사로 이 작품은 조각승 무염의 작품세계를 시기적으로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작품이다. 전체적으로 이 삼존불상은 안정적으로 자리 잡은 무릎, 당당한 어깨, 알맞은 허리 등 안정된 비례와 조화로운 형태미를 갖추고 있다. 또한 상체의 불필요한 주름들은 과감하게 생략하였지만, 불신과 불의가 긴밀하게 밀착·연결되어 간결하면서도 세련된 형태미를 보여 준다. 이러한 면에서 이 삼존상은 무염의 조각적 역량이 흠뻑 담겨 있는 작품이자 그가 조각한 작품 중 가장 높은 완성도를 보여주는 대표 작품으로 볼 수 있다. 이로써 향성사지 삼층석탑 보물 제443호와 함께 두 보물급 유형문화재가 소재하는 속초가 되었다. 삼존불좌상 뒤의 극락보전 후불탱(極樂寶殿 後佛幀)은 가로 4m 남짓 되는 대형 작품으로, 화면 중앙에 항마촉지인을 취하고 불단 위에 정좌하고 있는 아미타불과, 그 좌우에 감로병을 들고 있는 백의관음 및 연꽃을 든 대세지보살이 시립하여 있다. 그리고 삼존불 위쪽으로는 가섭·아난을 비롯한 10대 제자, 탑을 들고 있는 서방 광목천왕과 비파를 연주하고 있는 북방다문천왕이 묘사되어 있으며, 삼존불 아래쪽에는 지장보살·미륵보살 등의 네 보살과 용을 쥐고 있는 남방 증장천왕과 검을 쥐고 있는 동방 지국천왕이 그려져 있다. 전체적으로 삼존불과 4대 보살·10대 제자·사천왕으로 구성된 매우 간략한 구도를 취하고 있지만 각각의 인물 묘사는 선명하고 사실적이다.「신흥사사적기」의 기록으로 볼 때 1905년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범종루
사리탑 부도 비
불교는 제일 먼저 우주 만물의 인연(因緣)에서의 무상(無常)함에서 출발한다. 불교에서의 제행무상(諸行無常)이란 우주 만물이 끊임없이 생성되어 변하고 또한 소멸되어짐을 반복하여 한 곳에 머물러 있지 못하여 항상성이(常) 없는(無) 원리의 변화무상(變化無常)함을 말한다. 세상사 새옹지마(塞翁之馬)로 양지가 음지 되고 음지가 양지 되는 원리가 있는가 하면 인간이 한 평생 이룩한 부와 명예 그리고 건강도 한 줄기 미풍에 어느 새 흔적없이 날아가버릴 한 줌의 티끌같은 존재라는 얘기다. 사람이 이 땅에 태어나서(生) 늙고(老) 병들어(病) 죽는(死), 생로병사(生老病死)의 끝없는 윤회(輪廻), 그 인생무상함이다. 그리하여 헛된 꿈을 좇아 떠도는 축생(畜生)의 미망(迷妄)에서 벗어나고자 인간을 괴롭히는 세 가지의 독소(毒素)적 요소를 꼽았는데 이른바 삼독(三毒)이라 한다. 삼독에 따른 육바라밀을 엄격 수행하여 '참나'(참 자아)를 찾고 색즉시공(色卽是空) 공즉시색(空卽是色)의 원리를 터득하여 세상의 윤회(輪廻)를 벗어나 해탈(解脫)의 경지에 드는 게 궁극적 목표라 하겠다.
삼독(三毒)은 탐 진 치 즉, 탐욕(貪慾) . 진노(瞋怒) .치행(痴行)으로 우리 사회에서 일어나는 모든 불화와 갈등은 탐진치(貪瞋痴)가 원인이다. 탐진치를 떨쳐버리고 개개인이 ‘참나’를 찾아야 한다. 탐진치에서 ‘탐’이란 탐욕, ‘진’이란 성냄, ‘치’란 사리를 올바르게 판단하지 못하는 어리석음을 뜻한다. 부처는 탐진치가 삶과 죽음을 포함해 인간으로서는 불가피하게 겪을 수밖에 없는 ‘보편적 고통’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고 봤다. 이리하여 불가에서는 탐진치를 ‘삼독(三毒)’이라 한다. 부처는 인간의 탐냄과 성냄 그리고 어리석음이 소멸하면 열반(涅槃)이라고 했다. 곧 우리가 탐진치에서 벗어난 상태를 열반(涅槃) 또는 해탈(解脫)이라 한다.
'우리 고장 속초 > 설악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등령을 향하여-6 (0) | 2012.10.26 |
---|---|
마등령을 향하여-5 (0) | 2012.10.25 |
마등령을 향하여-4 (0) | 2012.10.24 |
마등령을 향하여-3 (0) | 2012.10.23 |
마등령을 향하여-2 (0) | 2012.10.22 |